////
Search

신용평가 모형 개발 과정

태그
PD

신용평가 모형 개발 과정

1. 부도 정의

무엇이 부도인가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지침을 보유해야 함.
Basel 위원회의 부도 정의의 예
채무자가 은행에 부담하는 상당한 정도의 채무에 대해 90일 이상 연체
상환 청구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채주마로부터 채무를 일부라도 상환 받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2. 고객 grouping

기업차주와 개인차주를 나눈다.
기업차주의 경우 대표적인 2가지 기준에 따라 나눈다.
1) 규모 2) 업종(산업)
규모가 다르면 모형을 나누어서 별도의 모형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고, 규모가 같고 업종이 다른 경우는 동일 모형을 사용하되, 모형 내에서 변수를 다르게 준다.
규모와 업종이 다르면, 부도나는 사유도 다르고, 재무비율의 값들의 평균도 다르다.
대표적인 모형: 외감 대기업, 외감 중기업, 비외감

3. 과거 데이터 수집

고객 group 별로 과거 5년간의 데이터를 모은다.
부도차주와 정상차주로 나눈다. (부도의 정의에 따라 나눔)
부도 관측기간: 재무제표 작성 후 1년간을 부도 관측기간으로.
Sample 데이터와 검증용 데이터로 나눈다. (Random Sampling)
Sample 데이터: 모형을 만들기 위해 사용할 데이터
검증용 데이터: 모형을 만든 후 검증용으로 사용
데이터 cleansing
실무적으로 매우 중요
중요 항목이 누락된 데이터 제거 또는 수정
예를 들어 재무상태표에서 자산 = 부채 + 자본이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

4. 재무모형을 위한 재무 비율 선정

재무비율들 중에서 부도와 가장 관계가 많은 재무비율을 선정한다.
모형 종류별로 선정되는 재무비율이 다르다.
이 과정이 사실상 모형의 변별력을 결정.
변별력(discriminator power): 부도날 차주와 그렇지 않을 차주를 구별하는 능력. 모형의 성능을 의미.

5. 재무 비율과 부도율(ODR)의 관계 모형 설정

선정된 재무비율과 부도율의 관계를 분석한다.

6. 부도확률(PD) 산출

만들어진 모형을 이용하여 각 차주별로 재무비율을 투입하여 부도확률(PD)을 산출
모든 고객별로 부도확률(PD)을 구하고, 순위에 따라 평점을 부여한다.

7. 등급 계량화(Calibration)

등급 계량화최종 평점을 일정한 구간으로 나누어 신용등급을 부여하는 작업임.
신용등급 구간
최소 정상차주 7개 이상, 부도 차주 1개 이상으로 나눈다.
신용등급마다 차별화가 되어야 한다.
신용등급별 역전 현상이 없어야 한다.(하위 등급으로 갈수록 PD가 높아져야 한다.)
등급별 차주 구성비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분포의 모습을 띄고 있어야 한다. 즉, 상위 등급과 하위 등급의 차주는 적고, 가운데 등급의 차주는 많아야 하는 것 등)

8. 비재무 모형 개발

비재무 모형에 적합한 항목을 선정하고 재무 모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비재무 등급을 산출한다.

9. 재무등급과 비재무등급의 결합

재무 평점과 비재무 평점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결합.
가중치는 신용평가 모형마다 다르다.
여러 번의 simulation을 통해 가장 변별력이 높은 조합을 선택한다.

10. Master Scale PD 설정

결합 신용등급 구간별로 평점을 기준으로 차주를 나누고 그 신용등급을 대표하는 대표 PD를 산출
대표 PD는 해당 신용등급에 속하는 차주들의 PD의 평균
신용등급별 대표 PD를 적용한 차주들의 전체 PD 평균을 구한다.
이 평균은 과거 실제 발생한 차주들의 신용등급별로 나누기 전의 부도율(ODR)의 평균 값과 크거나 같아야 한다.
전체 PD 평균과 ODR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전체 PD 평균은 신용등급별로 구간을 나누고 그 구간의 대표값을 사용하였기 때문.
CT(Central Tendency): 신용등급별로 나누어지지 않은, 과거에 실제 발생한 (관측된) 부도율(ODR)의 평균.
CT는 차주들의 과거 5년 이상에 걸쳐 관찰된 실제 발생 부도율의 평균 (ODR의 평균)
CT는 신용평가 모형별로 산출함
모형별로 차주를 grouping 해두었으므로
CT는 신용등급별로 산출하는 것이 아님
Master Scale PD: 모형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모형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용등급별 PD
모든 모형의 등급과 대표 PD를 하나로 결합한 형태
신용상태가 양호한 외감대기업 모형을 적용 받는 차주들은 주로 상위등급이 부여되며, 신용상태가 상대적으로 덜 양호한 비외감 기업의 경우는 하위 신용등급이 부여되게 됨.
(신용등급별 Master Scale PD×신용등급별 구성비)CT\sum (\text{신용등급별 Master Scale PD} \times \text{신용등급별 구성비}) \ge \text{CT}
예시

11. 모형에 대한 적합성 검증 (Model Validation)

모형에 대한 적합성 검증은 모형을 개발한 부서와 별개인 독립적인 부서에서 검증함. (독립적합성 검증)
검증 시점 기준으로 보면 개발검증과 사후검증으로 구분
개발 검증: 개발 시점에 하는 검증
모형의 성능(변별력)을 점검하여 사용 가능한지를 검증
모형 개발의 전 과정을 점검 (데이터 분류, 적절한 데이터 사용 여부, 문서화의 수준 등)
사후 검증: 일정기간 사용 후 정기적으로 하는 사후 검증
계속 사용해도 되는지, 수정이 필요한지를 검증

11-1. 모형 개발 검증

개발 검증시 사용되는 데이터 기준으로 보면
Out of Sample Validation
개발 대상기간내의 데이터를 개발용 Sample과 검증용 Sample로 구분하여 모형 구축
개발용 Sample과 검증용 Sample 모두를 이용하여 검증
Out of Time Validation
개발 대상 기간 외의 데이터를 이용한 검증
예를 들어, 2001년~2005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한 경우, 2006~2007년 데이터를 이용한 검증
주요 검증 내용: 변별력 검증
사용 지표: AR(Accuracy Ratio), K-S(Komogorov-Smirnov)
값 자체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함.

11-2. 모형 사후 검증 (Back Testing)

주요 검증 내용
1) 예측한 PD와 실제 발생 부도율의 비교
PD는 모형 개발 시점에서 과거 ODR에 근거하여 예측한 것임
모형 개발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 모형 검증 시점이 되면, 그 시점에서 다시 과거를 돌아보며, 과거에 예측한 PD와 예측 후 실제 발생한 부도율을 비교함
ODR이 PD를 한번 초과했다고 해서 바로 모형을 수정하는 것이 아님.
사전에 모형을 수정해야 하는 기준을 정하고 요주의, 경고 등의 단계를 거쳐서 계속 초과하면 모형을 수정한다.
초과의 경우도, 단순 초과보다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를 의미
ODR이 PD보다 낮으면 가능한 모형 유지, 지나치게 낮으면 모형 수정
2) 변별력 검증
사용 지표: AR, K-S
AR 및 K-S 값은 절대 기준이 중요하므로 일정 기준 이상을 유지하는지 검증한다.
변별력은 사전에 정한 기준 이상이면 문제 없는 것으로 판단
개발 시점의 변별력과 추세를 보는 차원에서 비교는 하지만, 비교 자체는 큰 의미가 없다.
3) 안정성 검증
사용 지표: PSI(Population Stability Index)
신용등급별 기업체 구성비가 개발시점과 많이 변한 것은 아닌지 검증 (개발시점의 구성비 vs. 검증시점의 구성비)